2008/12/15

외장 CD-ROM 없이 USB 메모리를 활용한 리눅스 설치

0 comment(s)

이 방법이야 애초에 가능했던 것이기는 하겠지만, 그 동안 수많은 메인보드가 USB 부팅을 지원하지 않았던 문제도 있고 해서 그냥 이미지를 CD 로 구워서 설치를 하곤 했다. 아무리 CD 값이 똥값이 되었다고 해도 엄청난 버전업 속도 때문에 한두번 설치하고 나면 다시 사용할 일이 없게 되는 설치 CD 가 조금은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쯤이라면 웬만해서는 USB 나 네트워크 부팅으로 설치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 다시 이것저것 찾다 보니까 아니나다를까, 방법이 있었다.

역시 소스포지에는 별의 별 것들이 있다.

unetbootin이라는 것인데 이곳에서 해당 플랫폼에 맞는 것을 받아 와서 사용하면 된다.

이 프로그램으로 USB 메모리에 설치하고 싶은 리눅스 iso 이미지를 풀어서 넣을 수 있다. 이후 그 메모리로 부팅을 해서 설치하면 되는데 CD 를 굽는 것보다는 확실히 덜 귀다. (메모리에 있던 기존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지만, 그래도 만일을 위해 메모리에 있던 자료는 백업해 놓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당연히 메모리에 충분한 공간이 남아 있어야 하며 한 7~800mb 정도가 아닐까 한다.

이제는 공CD를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 사실 기존 버전에서 업그레이드를 하면 되니까 새로 CD를 굽지 않아도 되지만 예전에 kubuntu 버전 업그레이드를 하다가 망가졌던 일을 한 번 겪었더니 겁이 난다.

Jdk 6 for Mac: SoyLatte 1.0.2

0 comment(s)

뚜렷한 이유는 없지만 M$ 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 모든 것이 M$ 제품군 위주로만 돌아가는 상황은 상당히 못마땅하다.

그런데, 리눅스가 더 매력적인 부분도 있고 OS X가 더 좋은 부분도 있었지만 슬프게도 java나 MySQL 등은 M$ 플랫폼에 더 설치하기 쉬우며 더 잘 작동한다. 당장 업무를 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들이다. M$ 와 안 친할 것 같은 제품들이 오히려 M$ 에서 제대로 작동하다니, 참으로 묘한 상황이다.

그럭저럭 맥 기반 java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잘 진행해 왔었다. 그러던 어느 날 프로젝트를 분리하면서 비정상적인 작동 형태를 보이기 시작했다. 컴파일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아직도 그 부분에 대해서는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지금은 팀도 갑자기 바뀌어 그 부분에 대해 신경을 쓸 수가 없다.

며칠 전에 잠시 짬을 내어, 그새 Mac 의 java 가 업데이트 되었다는 이야기를 떠올리며 애플 사이트를 뒤져 봤지만 그런 일은 없었던 것 같다.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고, 그러나 실은 무지 많은 기대를 품으며 계속 찾다 보니 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jdk 에 대한 글을 보게 되었다.

그 이름은 soy latte 라고 하며, 원래는 sun 에서 FreeBSD 용으로 공개한 버전이라고 한다. 이 것을 맥 용으로 포팅한 버전인데 아마도 처음에는 누군가가 직접 컴파일해서 간단한 자바 바이트코드를 실행하고 성공했던 결과를 포스팅한 것이 시작이었던 것 같다. 지금은 dmg 로 묶어놓은 버전을 구할 수 있다.

역시 습성대로 받아 놓은지는 몇 주가 되었습니다. 마음을 다잡아 사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행하기 앞서 이 jdk 를 테스트해 보았다. 기존에 작업하던 프로젝트에서 테스트 케이스를 돌려 보았더니 뭔가 한 곳에서 에러가 발생하기는 하는데, 이전처럼 cannot resolve symbol 같은 컴파일 에러가 나오는 것 같지는 않았다. 아무튼 조금 더 진행해 보아야겠지.

2008/12/05

wiki 비교 사이트

0 comment(s)

현재 개인 위키로 Atlassian Confluence 를 사용하고 있습다. 이게 좋기는 한데 오픈소스로 바꿔 보려고 이런저런 위키를 찾아 보다가 위키 비교 사이트를 알게 되었다.

각종 언어로 구현한 다양한 위키들을 잘 비교해 놓았다. 좋은 참조가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