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25

Mac OS X 의 JDK 1.6 #3 - Eclipse Plugin problem

0 comment(s)

갑자기 회사 동료에게 자극을 받아 흥미가 동하여 실로 오랫만에 간단한 이클립스 플러그인을 만들게 되었다. 그냥 기존의 기억을 되살려 예제 플러그인을 하나 생성하고 런타임 워크벤치를 실행했는데... 작동이 안 된다...

문제를 접한 순간에는, 그냥 어설프게 -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이러면 안되는데 - 그동안 이클립스를 업데이트 하면서 시스템이 꼬였나 싶어서, 깨끗한 이클립스를 받아 플러그인을 만들어보는 삽질을 감행했다.

작동이 잘 된다. 그래서 그 동안 사용하던 이클립스에 뭔가 문제가 생겼다고 생각하려는 순간, 워크벤치 JRE 를 살펴보니... 새로 실행한 이클립스는 1.5 다. (지금 작업하던 이클립스는 1.6) 환경을 조절해 보니 1.6 에서 런타임 워크스페이스가 뜨지 않는다.

이후 조사를 진행해 보니까 현재 이클립스가 carbon 기반이고, cocoa 기반으로 바뀌지 않는 한, 혹은 애플의 1.6 JRE 에 변화가 있지 않는 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고 한다.

요즈음 외국 서적이나 웹 사이트 등을 보면, 예제 화면을 Mac OS X 에서 캡쳐한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렇게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최소한 이런 문제들은 안 생길 것도 같은데, 아직 멀었나 보다.

2008/07/09

ubuntu 재앙: sudo 작동 불가능

0 comment(s)

오늘 모종의 작업을 하다가 sudo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는 대재앙을 겪었다.

가상 머신으로 작동중인 우분투 7.10 에 subversion을 설치하던 도중 레퍼지터리를 생성하기 위해 디렉터리 추가(sudo mkdir /path/to/repository)를 하고(되었다 믿었고) 이후 작업을 진행하려는데 디렉터리가 없어서 오류가 발생했다.

이상해서 확인해 보니 sudo 를 사용해야 하는(root 권한이 필요한) 모든 작업이 불가능한 상황인 것이다. 이런저런 삽질 끝에 알아 낸 원인은 /etc/group 파일에 사용자 설정이 사라져 버려서 발생한 일이었다.
그리 된 이유는 서브버전에서 svn+ssh 를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중 다음 명령어 때문이었다:

이 때 다른 그룹 필드에 있던 USER_ID 가 모두 초기화되어 버린 것이었다...

이러해야 할 필드가

이렇게 되어 있었다.

그래서 ubuntu 설정상으로 admin 그룹에 해당 USER_ID 가 있어야 하는데 이게 없으니 sudo 명령이 작동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은 GRUB 에서 single user mode 로 부팅을 하여 해결은 하였는데, usermode 의 이러한 작동이 정상적인지 의문이다.